Home  /  소오일엽(笑傲一葉)  /  희희농월(戱喜弄月)  /  가사단가(歌詞短歌)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농가월령가 / 정학유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4]
170) 초여름. 초하(初夏).
171) 입하(立夏)는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가운데 들어가는 절(節). 여름이 시작되는 무렵이다. 소만(小滿)은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어가는 중기(中氣). 만물이 왕성하여 극도(極度)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어느 정도 충만(充滿)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172) 맑고 부드럽다는 뜻.
173) 떡갈나무의 잎.
174) 바야흐로 일이 많아졌다는 뜻. 방(方)은 시간을 나타낼 때에는 ‘이제’ 또는 ‘방금’, ‘바야흐로’의 뜻을 가진다. 장(長)은 일거리가 길어졌다는 것이니, 곧 일이 많다는 뜻이다.
175) 대나무로 엮어서 만든 사립문. 사립은 본래 싸릿가지나 대나무, 나뭇가지 등을 엮어서 만든 문을 가리킨다.
176) 나뭇잎이 우거져서 그늘이 만들어지는 것.
177) 면화(綿花)에서 실을 자아서 뽑아내고, 그 실로 다시 피륙 등의 천을 짜는 것.
178) 다른 작물을 곁들여 심는 것. 주로 밭두둑 또는 작물과 작물 사이에 심는 것을 말한다.
179) 갈대.
180) 물논. 물이 충분하게 들어차있는 논.
181) 써래질을 한다는 뜻. 써래질은 갈아엎엇 물을 대어 충분하게 물을 먹은 흙을 덩어리가 없도록 잘 풀어주는 것.
182) 농사철의 식량(食糧). 또는 농사짓는 일꾼들을 먹이기 위한 식량.
183) 환곡(還穀). 봄이면 지난 가을에 수확했던 곡식이 거의 떨어져 가고, 보리는 아직 수확하기에는 이르다. 이 시기를 춘궁기(春窮期), 절량기(絶糧期) 또는 보릿고개라고 하는데, 이때에 국가(國家)에서 창고의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수확이 끝난 뒤에 이자를 붙여서 되돌려받는 제도를 말한다.
184) 나중에 딸 생각을 해서
185) 제쳐두고.
186) 가뭄. 찔레꽃이 필 무렵에는 비가 오지 않는다고 한다.
187) 때를 이용(利用)하여. 승(乘)은 시간으로 말할 때에는 ‘틈을 탄다’는 뜻이 된다.
188) 물길. 즉 빗물이나 하숫물이 흘러나가는 길.
189) 지붕에서 비가 새는 곳.
190) 지붕의 기와를 고치는 것. 초가지붕에는 기와를 얹지 않으므로 여기에서의 개와(改瓦)는 지붕을 수리한다는 뜻이다.
191) 조금씩 끈질기게 내리는 비. 즉 장맛비. 오래도록 내리는 비.
192) 봄에 나온 것. 또는 봄에 만들거나 지은 것.
193) 한 필(匹)의 무명. 필(匹)은 옷감이나 피륙을 재는 단위. 무명은 면화(綿花)에서 자아낸 실로 짠 천.
194) 무명이나 광목 등의 새로 짠 천은 뻣뻣하여 옷감이나 기타의 용도로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끓는 물에 삶아내고, 이를 다시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널어서 햇빛과 바람에 바래어 감촉을 보다 부드럽게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마전’이라고 한다.
195) 삼베. 마(麻), 즉 삼에서 자아낸 오라기로 짜낸 피륙. 베옷을 만드는 천.
196) 저마(苧麻), 즉 모시풀에서 자아낸 오라기로 짜낸 피륙. 모시옷을 만드는 천. 한산모시 또는 안동포가 유명하다.
197) 여왕벌.
198) 임금과 신하(臣下)가 각기 해야 할 일이 따로 있다는 뜻.
199) 초파일(初八日). 부처님 오신 날. 석탄일(釋誕日).
200) 초파일(初八日)에 연등(燃燈)을 다는 것.
201) 꼭 필요하지 않은 것.
202) 쌀가루에 느티나무의 연한 새잎을 찧은 것을 버무려 넣고 시루에 쪄낸 떡.
203) 콩찐이. 밀가루나 쌀가루에 콩을 버무려 넣고 손으로 납작하게 대충 모양을 만들어서 솥에 채반을 걸어서 쪄낸 떡. 개떡의 일종.
204) 냇가에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잡는 것. 또는 그 놀이.
205) 바람이 잔잔하니.
206) 나무가 우거진 골짜기에서 흐르는 시냇물. 또는 맑게 흐르는 시냇물. 벽계(碧溪)는 통상 맑은 물이 흐르는 시냇물을 가리킬 때에 쓰인다. 벽계수(碧溪水)는 그 벽계(碧溪)에서 흐르고 있는 물.
207) 수달래 또는 산철쭉을 가리키는 말. 수달래는 물가에 피어있는 진달래.
208) 눈이 매우 작은 그물. 눈이 촘촘한 그물.
209) 한 자(尺)가 되는 비늘이 번쩍이는 물고기. 한 자(尺)는 대략 30센치미터.
210) 노구(爐口). 작은 무쇠솥.
211) 여덟가지의 진귀한 음식. 용(龍)의 간(肝), 봉황(鳳凰)의 뇌수(腦髓), 토끼의 태반(胎盤), 잉어의 꼬리, 악어고기로 만든 너비아니, 곰의 발바닥, 성성(猩猩)이의 입술, 그리고 우유로 만든 수락(?酪).
212) 오후(五侯)는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에 한날 한시에 제후(諸侯)가 된 성씨(姓氏)가 같은 다섯명의 제후(諸侯). 즉 왕담(王潭), 왕근(王根), 왕립(王立), 왕상(王商), 왕봉시(王逢時). 청(鯖)은 생선과 고기를 함께 넣고 끓인 음식(飮食). 오후(五侯)가 제후(諸侯)가 된 이후 빈객들을 제대로 대접하지 않아 문전에 사람의 발길이 끊기게 되었다. 이에 말 잘하는 사람을 끌어들여 해결토록 하였는데, 그가 오후(五侯)의 집을 다니면서 맛좋은 음식을 가져다가 한데 섞어 끓여낸 것이 몹시 신기하면서도 새로운 맛이었다. 이에 사람들이 이 음식을 맛보려 다시 오후(五侯)를 찾아가기 시작하였는데, 이 음식을 일컬어 오후청(五侯鯖)이라고 하였다.
3 l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