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금오신화(金鰲新話)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 김시습(金時習)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9) 苑擊催花鼓. 난문(難文)이다. 아마도 본래의 뜻은 ‘擊鼓催苑花’가 아니었을까 한다.
180) 王母. 서왕모(西王母). 상상상(想像上)의 인물. 곤륜산의 요지(瑤池)에서 살고 있으므로 요지선녀(瑤池仙女)라고도 한다. 반도(蟠桃)라고 하는 복숭아나무를 키우고 있는데, 이 복숭아를 먹으면 죽지않고 장수할 수 있다고 한다. 활의 명인 예(羿)가 서왕모에게서 얻어온 반도복숭아를 그 아내인 항아(姮娥)가 훔쳐먹고서 후환이 두려워 달나라로 도망갔다는 전설이 있고, 또 삼천갑자 동방삭이 서왕모의 복숭아를 먹고 삼천갑자를 살았다는 전설도 있다.
181) 絲桐. 거문고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
182) 醪醴. 醪은 탁주(濁酒)를 말하는 것이고, 醴은 감주(甘酒)를 말하는 것이니, 전(轉)하여 술을 점잖게 이르는 말로 쓰인 것이다.
183) 華嵩. 본래의 뜻은 ‘화산(華山)’과 ‘숭산(崇山)’. 화산과 숭산은 모두 오악(五嶽)에 속하는 것으로써 신선(神仙)들이 머무는 곳으로 알려졌다. 즉 화산과 숭산의 신선들처럼 만수무강(萬壽無疆)한다는 뜻이다.
| |
|
| |
|
 | |
|
| |
|
 | |
|
| |
|
184)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육기(六氣)의 하나. 북방(北方)의 한밤중의 기운. 육기(六氣)는 봄에는 조하(朝霞), 여름에는 정양(正陽), 가을에는 윤음(淪陰), 겨울에는 항해(沆瀣)의 기운인데, 여기에 하늘의 천현(天玄)과 땅의 지황(地黃)을 합쳐서 육기라고 한다.
185) 瀛蓬. 영주산(瀛洲山)과 봉래산(蓬萊山). 신선이 산다는 동해의 섬에 있는 산(山)의 이름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6)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칠보(七寶)의 한 가지. 수정(水晶)의 일종인데, 성분의 함량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아름다운 빛을 띤다고 한다.
| |
|
| |
|
 | |
|
| |
|
 | |
|
| |
|
187) 번개를 맡아보는 여신(女神). 뇌공(雷公)의 배필(配匹). 뇌공(雷公)과 함께 천둥과 번개를 주관(主管)하는데, 뇌공은 구름 속에서 북을 두드려 천둥소리를 내고, 전모(電母)는 두 개의 거울로써 번개빛을 낸다고 한다.
| |
|
| |
|
 | |
|
| |
|
 | |
|
| |
|
188) 拂箒. 먼지를 털어내는 용도로 쓰이는 청소기구. 불자(拂子), 불진(拂塵)이라고도 하고, 우리말로는 총채 또는 먼지떨이개라고 한다.
| |
|
| |
|
 | |
|
| |
|
 | |
|
| |
|
189) 戶牖. 戶는 외짝의 문, 牖는 들어올리는 바라지문.
190) 일곱가지 보석(寶石). 금(金), 은(銀), 유리(琉璃) 즉 검푸른 보석(寶石), 파려(玻瓈) 즉 수정(水晶), 자거(硨磲) 즉 백산호, 적주(赤珠) 즉 붉은 진주, 마노(碼碯) 즉 진록색 보석.
| |
|
| |
|
 | |
|
| |
|
 | |
|
| |
|
191) 門戶. 門은 두 짝자리 문. 戶은 외짝의 문.
192) 고운 빛이 나는 좋은 진주(眞珠). 또는 어두운 곳에서도 빛이 난다는 야광주(夜光珠).
193) 氷綃. 백설(白雪)처럼 희고 얇은 비단.
194) 위에 나온 조강신(祖江神), 낙하신(洛河神), 벽란신(璧瀾神)의 세 하신(河神).
| |
|
| |
|
 | |
|
| |
|
 | |
|
| |
|
195) 巾箱. 두건(頭巾)이나 서책 등을 보관해 두는 상자.
| |
|
| |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5 l
금오신화(金鰲新話) 목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