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소오일엽(笑傲一葉)  /  묵향완월(墨香玩月)  /  시문사부(詩文詞賦)  /  금오신화(金鰲新話)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금오신화(金鰲新話)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 김시습(金時習)   [2]
[1] [2] [3] [4] [5] [6]
53) 靑葱. 본래의 뜻은 ‘초봄에 싱싱하게 일어나는 파’. 대파의 한 가지.
54) 戶. 戶는 외짝문. 문(門)은 두짝문.
55) 宜室宜家. 시경(詩經) 주남편 도요(桃夭)에 나오는 말. ‘桃之夭夭 灼灼其華 之子于歸 宜其室家/ 桃之夭夭 有蕡其實 之子于歸 宜其家室/ 桃之夭夭 其葉蓁蓁 之子于歸 宜其家人(복숭아나무 싱싱하고 그 꽃 활짝 피었다 아가씨 시집가니 집안이 화락하다/ 복숭아나무 싱싱하고 그 열매 무성하다 아가씨 시집가니 집안이 화락하다/ 복숭아나무 무성하고 그 잎이 무성하다/ 아가씨 시집가니 집안이 화락하다)’.
56) 鼓瑟鼓琴. 시경(詩經) 소아(小雅) 편의 녹명(鹿鳴) 제3련에 나오는 말. ‘呦呦鹿鳴 食野之芩 我有嘉賓 鼓瑟鼓琴 鼓瑟鼓琴 和樂且湛 我有旨酒 以燕樂嘉賓之心(기쁜 소리로 사슴이 소리내며 들판의 금풀을 먹는다/ 내 반가운 손님 있어 거문고 타고 생황 분다/ 거문고 타고 생황 불며 화락하고 즐긴다/ 내 맛있는 술 있어 잔치 베풀어 반가운 손님의 마음을 즐겁게 한다)’.
57) 후손(後孫). 금지옥엽(金枝玉葉)의 준말.
58) 주역 건괘를 효사(爻辭)를 가리킨다. 在天은 구오(九五)의 비룡재천(飛龍在天)을 나타내고, 在淵은 구사(九四)의 혹약재연(或躍在淵)을 나타낸다.
59) 주역 건괘의 잠룡(潛龍)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구(初九)의 잠룡물용(潛龍勿用)과 구사(九四)의 혹약재연(或躍在淵)을 가리킨다.
60) 천제(天帝) 또는 옥황상제(玉皇上帝).
61) 乾坤. 천지(天地)를 말하는 다른 이름.
62) 遐邇. 멀고 가까운 것, 즉 원근(遠近)을 말하는 것이니, 전(轉)하여 ‘온세상’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 것이다.
63) 抛梁東. 상량식(上梁式)에서 대들보의 사방과 상하(上下)를 두드려서 성조신에게 알리거나 또는 떡을 던져서 고(告)하는 것을 말한다. 본래는 ‘兒朗偉 抛梁東(어영차 여보게들. 대들보 동쪽으로 떡을 던지세/ 동쪽을 두드리세)’라고 하는데, 본문에서는 ‘兒朗偉’가 생략되었다. 抛梁東의 東은 동쪽을 말한다. 상량식의 축문에는 방위별로 이 ‘兒朗偉 抛梁東’가 형식으로 반드시 포함되어 쓰여진다.
64) 紫翠. 紫는 보랏빛, 翠는 푸른 빛이다.
65) 一泓은 연못. 泓은 물이 맑으면서도 깊은 모양을 가리킨다. 春水는 봄물. 즉 눈녹아 흐르는 물.
66) 보석의 이름. 칠보(七寶)의 한 가지.
67) 莽蒼. 탁트여 저멀리까지 보이는 들판의 풍경. 즉, 끝없이 넓은 벌판의 풍경.
68) 바닷가의 땅이 우뚝 솟아오른 곳. 발해(渤海)의 동쪽에 삼신산(三神山)이 솟아있는 세 개의 섬 삼신도(三神島)가 있다고 한다.
69) 아침 해가 뜨는 곳을 가리키는 말. 희화(羲和)가 아홉 개의 해를 함지(咸池)에서 목욕시킨 후에 부상(扶桑)의 뽕나무 가지에 걸어두었다가 아침이 되면 차례로 하나씩 올려보낸다고 한다.
70) 野馬. 화창하고 따뜻한 봄날에 땅위로 아른아른 피어오르는 기운. 아지랑이.
71) 알 수 없다. 다만 靈源은 ‘신령스러운 샘’이라는 뜻이니, 靈源水는 공 ‘신령스러운 물’을 가리키는 듯 하다.
72) 혼례(婚禮)의 의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석 잔의 술을 함께 마시는 일. 이때의 술을 합근주(合巹酒) 또는 합환주(合歡酒)라고 한다. 근(巹)은 하나의 표주박을 반으로 가른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까닭에 ‘세상에서 하나 뿐인 배필’의 뜻을 가지기도 한다.
73) 瑤宮玉殿. 옥(玉)으로 장식한 화려한 궁궐과 전각. 옥전(玉殿), 경대(瓊臺). 요대(瑤臺) 등은 모두 동의어(同義語)이다.
74) 卿雲. 경운(慶雲)과 같은 말이다.
75) 鳳枕鴦衾. 鳳은 봉황(鳳凰)의 수컷, 鴦은 원앙(鴛鴦)의 암컷을 나타낸다. 枕衾은 베개와 이부자리, 즉 금침(衾枕)이다.
76) 三神. 용왕의 신하이므로 역시 신격(神格)에 속한다.
77) 서화(書畫)의 작자(作者)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시하기 위한 연회(宴會).
78) 조강(祖江)은 임진강(臨津江) 하류를 가리키는 말이고, 낙하(洛河)는 임진강 중류를 가리키는 말이며. 벽란(碧瀾)은 예성강(禮成江) 하구의 포구(浦口)인 벽란도(碧瀾渡)를 말하는 것이다. 고려조에서는 예성강과 벽란도가 개경(開京)의 항구(港口)와 수로(水路)의 역할을 하였다.
79) 相邀. 좋은 친구를 초청하여 만나는 것.
80) 酒盡. 순배(巡杯)가 마쳐졌다는 뜻이니, 모두가 돌아가면서 한 잔씩 마셨다는 뜻이다.
81) 蛾眉. 고운 눈썹의 뜻인데, 곧 미인(美人)을 가리키는 말이다. 蛾는 누에나방을 가리키는 말인데, 초승달처럼 가늘고 긴 눈썹을 가리키는 말이다.
82) 하늘이 푸르고 아득하게 활짝 개여있는 모양.
83) 맑은 물이 넓으면서도 깊은 모양.
84) 銀潢. 은하수(銀河水)를 가리키는 다른 말.
85) 둥근 모양의 옥패(玉佩). 또는 관원(官員)들이 허리에 차는 둥근 모양의 관패(官牌).
86) 琳琅. 옥(玉)의 한 가지. 의성어(擬聲語)로 쓰일 때에는 ‘옥이 부딪치는 맑고 경쾌한 소리’.
87) 당당하고 늠름한 모습.
88) 辰良. 辰은 일진(日辰)을 말하는 것이니 곧 ‘날’을 말하는 것이고, 良은 좋다는 뜻이다. 양진(良辰).
89) 鏘鏘. 의성어로써, 쇠나 돌이 부딪치면서 내는 맑은 소리를 가리킨다.
90) 羽觴. 새 모양으로 만들어진 술잔.
91) 獸口. 짐승의 주둥이 모양으로 만든 향로(香爐).
92) 魚鼓. 목어(木魚)를 가리키는 다른 말. 목어는 나무로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어 두드려 소리를 낼 수 있게 만든 것. 주로 불가의 사찰에서 사물(四物) 가운데 하나로 쓰인다.
93) 결혼하지 아니한 연소한 젊은 남자를 부르는 말.
94) 춤출 때에 쓰이는 자루가 긴 부채.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1 l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