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소오일엽(笑傲一葉)  /  묵향완월(墨香玩月)  /  시문사부(詩文詞賦)  /  금오신화(金鰲新話)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금오신화(金鰲新話)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김시습(金時習)   [3]
[1] [2] [3] [4] [5] [6]
34) 情款은 본래 정의(情誼), 즉 연정(戀情)을 가지고 있는 마음을 말한다.
35) 책상과 의자. 서안(書案)와 궤석(几席).
36) 북송(北宋)의 왕진경이 그린 그림. 소동파(蘇東坡)가 이를 보고 찬(撰)으로 쓴 싯귀가 고문진보(古文眞寶)에 있다.
37) 그윽한 대나무밭에 서있는 오래 묵은 나무의 그림. 원(元)의 화가 가구사(柯九思)가 그린 이래 여러 사람이 따라 그렸다.
38) 그림에 곁들여 쓰는 시구(詩句) 또는 문구(文句). 그림을 그린 본인이 쓰거나 또는 다른 사람이 찬(贊)하여 쓰기도 한다.
39) 江心.
40) 지리산(智異山)의 다른 이름.
41) 靑螺鬟. 靑螺는 푸른 색 소라. 다른 말로는 청산(靑山)의 뜻을 가진다. 鬟는 여인네의 쪽진머리.
42) 對此. 此는 곧 앞에 나왔던 벽에 걸려있는 그림을 가리킨다.
43) 동정호(洞庭湖)로 들어가는 물줄기의 하나. 소강(瀟江)과 더불어 소상강(瀟湘江)이라고 불리우는데, 경치가 매우 좋은 것으로 이름이 났다. 그 가운데 특히 뛰어난 경관(景觀)을 소상팔경(瀟湘八景)이라고 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인 원포귀범(遠浦歸泛)은 포구로 배가 들어가는 풍경을 가리킨다.
44) 조화(造化)가 일어나는 곳. 도가(道家)에서 단전(丹田)을 가리킬 때에 쓰이는 말이다.
45) 위언(韋偃)은 당(唐)의 화가(畫家). 산수(山水)와 대나무, 인물(人物)을 잘 그렸다고 한다. 여가(輿可)는 송(宋)의 화가(畫家)인 문동(文同)의 자(字). 그 역시 대나무와 산수를 잘 그렸다고 한다.
46) 묵신(墨神)은 화가(畵家)의 뛰어난 경지를 찬탄하여 일컫는 말. 여기에서는 그러한 화가(畵家)가 그린 그림. 삼매(三昧)는 불가(佛家)의 선정(禪定)을 말하는 것인데, 여기에서는 그림감상에 푹 빠져있는 모습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47) 원(元)의 서화가(書畵家) 조맹부(趙孟頫)의 호(號). 그의 서체(書體)를 조맹부체(趙孟頫體) 또는 송설체(松雪體)라고 한다.
48) 眞字. 서예(書藝)의 서체(書體) 가운데 정서(正書)를 말한다. 정서(正書)는 곧 정자체(正字體)이다.
49) 연꽃 무늬의 휘장(揮帳). 또는 여인이 거처하는 곳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50) 새벽. 새벽 4~5시경.
51) 신이(辛夷)는 본래 백목련의 꽃봉오리를 말하는데, ‘개나리’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52) 百舌. 백설조(百舌鳥)를 가리키는 말. 백설조(百舌鳥)는 지빠귀새의 총칭.
53) 閨閤.
54) 嫩寒. 본래는 초겨울의 추위를 가리키는데, 여기에서는 ‘이른봄 꽃샘추위‘의 뜻으로 쓰였다.
55) 春色深藏黃四家. 본래의 뜻은 ‘깊어가는 봄빛을 황씨네집 넷째딸이 간직하네’이다. 황사가(黃四家)는 황사(黃四), 즉 황씨집 넷째딸을 말하는데, 두보(杜甫)의 강반독보심화(江畔獨步㝷花)에 ‘黃四嫏家花滿蹊’라는 구절이 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黃四嫏家花滿蹊 千朶萬朶壓枝低/ 留連戱蝶時時舞 自在嬌鶯恰恰啼(황가네 집 넷째 딸 좁은 길에 꽃이 가득한데/ 천 송이 만 송이 꽃에 눌려 가지가 휘늘어지네/ 고향땅 떠나있는데 나비들은 때를 맞이하여 춤추고/ 한가로운 아릿다운 꾀꼬리 꾀꼴꾀꼴 지저귀네)’.
56) 환히 비치는 얇은 천으로 가려놓은 창문(窓門).
57) 綠窓工女幷刀饗. 후반부의 ‘幷刀饗’은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지 알 수가 없다.
58) 紫霞. 아마도 비단의 한 가지를 말하는 듯.
59) 黃梅時節. 黃梅는 매실이 잘 익어서 누런 빛을 띤 것이다.
60) 雨簾纖. 雨는 매실이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를 말하는 것이니 곧 매우(梅雨)을 말한다. 簾纖는 고운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모양.
61) 棟花零落. 봄이 다 지나갔다는 말. 본문의 棟花는 棟花의 오기(誤記)인 듯 하다. 棟花는 멀구슬나무의 꽃을 말하는데, 곡우(穀雨) 무렵에 피는 꽃이다. 형초세시기의 이십사번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에서 가장 늦게 피는 꽃으로 말해지는데. 이 꽃으로 봄과 여름의 경계를 삼았다고 한다.
62) 두보(杜甫)의 시(詩) 만흥구수(漫興九首) 가운데 제육수(第六首)에 ‘懶慢無堪’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懶慢無堪不出村 呼兒日在掩柴門 蒼苔濁酒林中靜 碧水春風野外昏‘.
63) 鴻雁. 鴻은 큰 기러기. 雁은 그보다 작은 기러기.
64) 金井. 金은 오행(五行)에서 계절은 가을, 빛은 흰빛, 방위는 서쪽을 가리킨다.
65) 중원(中原)에서 서역(西域)으로 나가는 관문(關門). 감숙성(甘肅省) 서쪽 끝에 있다.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2 l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