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소오일엽(笑傲一葉)  /  묵향완월(墨香玩月)  /  시문사부(詩文詞賦)  /  경기체가(景幾體歌)












                                                     
한림별곡 / 한림제유
[1] [2] [3]
[1]
1) 高麗 中期의 文臣이었던 琴儀 門下의 兪元淳, 李仁老, 李公老, 李奎報, 陳樺, 劉沖基, 閔光鈞, 金良鏡 등이 각기 1章씩 돌아가며 지은 것이라는 見解가 有力하다.
2) 元淳文. 兪元淳의 文章. 兪元淳은 高麗 中期의 文臣. 琴儀의 門下. 古文에 능하였으므로 當代의 文章이라 일컬어졌다.
3) 仁老詩. 朴仁老의 詩. 朴仁老는 高麗 中期의 文臣이자 琴儀의 門下.
4) 公老四六. 李公老의 四六騈儷文. 四六騈儷文은 宋末에 流行했던 修飾語가 많고 比喩와 隱喩가 豊富한 四六體의 華麗한 文體를 말한다.
5) 李正言. 李奎報. 高麗 中期의 文臣. 正言은 官職名. 陳?와 더불어 當代의 雙筆로 이름이 높았다. 琴儀의 門下.
6) 陳翰林. 陳?. 高麗 中期의 文臣. 翰林은 官職名. 李奎報와 더불어 當代의 雙筆로 이름이 높았다. 琴儀의 門下.
7) 雙韻走筆. 雙은 두 사람, 韻은 詩韻을 말하므로 詩文에 능한 것을 나타내고, 走筆은 글이나 글씨를 빨리 쓰는 사람을 말한다.
8) 沖基對策. 劉沖基. 高麗 中期의 文臣. 對策文에 능하였다고 한다. 琴儀의 門下.
9) 光鈞經義. 閔光鈞. 高麗 中期의 文臣. 經書에 능하였다고 한다. 琴儀의 門下.
10) 良鏡詩賦. 金良鏡. 高麗 中期의 文臣. 詩賦에 능하였다고 한다. 琴儀의 門下.
11) 試場. 科擧를 보는 곳. 科場.
12) 景. 모습. 風景.
13) 琴學士. 琴儀. 初名은 琴克儀. 高麗 中期의 文臣. 要職을 두루 거쳤다.
14) 玉?. 玉筍. 玉같이 보배로운 竹筍의 뜻. 唐의 科擧에 뽑힌 人才들의 風貌가 모두 秀麗했으므로 世人들이 玉筍이라 하였다. 즉 文章과 學識이 높은 靑年學士 또는 科擧에 及第한 사람을 말한다.
15) 唐漢書. 唐나라와 漢나라의 史書. 즉 唐書와 漢書.
16) 莊老子. 莊子와 老子. 즉 道家를 말한다.
17) 韓柳文集. 唐宋八大家에서 특히 文章이 탁월한 韓愈과 柳宗元의 文集.
18) 李杜集. 李白과 杜甫의 詩集. 李白과 杜甫는 각기 詩仙과 詩聖으로 일컬어진다.
19) 蘭臺集. 蘭台令史의 文集. 蘭台令史는 漢나라에서 史書를 整理하는 官職. 後漢의 班固가 蘭台令史로서 이름이 높았다.
20) 白樂天集. 白樂天은 唐의 詩人. 白居易. 그의 長恨歌와 琵琶行은 絶唱에 속한다.
21) 毛詩尙書. 毛詩는 詩經, 尙書는 書經의 다른 이름.
22) 周易春秋. 각각 儒家의 五經에 속한다. 周易은 易經이라 하고, 春秋는 春秋時代 魯나라의 歷史를 기록한 것이다.
23) 周戴禮記. 五經의 禮記의 다른 이름. 大戴禮와 小戴禮가 있는데, 大戴禮는 戴德이 編纂하였고, 小戴禮는 戴星이 編纂한 것이다.
24) 北宋 太宗 때에 編纂된 說話書. 漢에서 宋初까지의 小說, 奇談, 野史, 神仙, 妖怪, 傳記, 風俗, 地理, 文章 등이 광범위하게 수록되어 있다.
1 l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