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운기칠편(運氣七編) / 소문(素問) 제칠십(第七十) / 오상정대론(五常政大論) / 제3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9) 肺氣上從 : 少陽相火司天 寅申歲也 火氣下臨 金之所畏 故肺氣上從 從者 應而動也 (張介賓類註 類經二十五卷 運氣類十四 天氣地氣制有所從)
230) 白氣 : 금기(金氣). 폐기(肺氣). 양명조금(陽明燥金)의 기운.
| |
|
| |
|
 | |
|
| |
|
 | |
|
| |
|
231) 蒼氣 : 청기(靑氣). 동방목기(東方木氣).
| |
|
| |
|
 | |
|
| |
|
 | |
|
| |
|
232) 단기(丹氣) : 적기(赤氣). 심기(心氣). 남방화기(南方火氣).
233) 皮?肉苛 : 皮? 皮膚麻木 肉苛 肌肉不仁.
| |
|
| |
|
 | |
|
| |
|
 | |
|
| |
|
234) 황기(黃氣) : 토기(土氣).
235) 消? : 열(熱)로 인하여 진액(津液)을 비롯한 수분(水分)이 줄어들어 바싹 마르는 것.
236) 赤沃 : 적리(赤痢). 또는 부녀(婦女)의 하혈(下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7) 흑기(黑氣) : 한기(寒氣). 신기(腎氣). 북방수기(北方水氣).
238) 埃冒雲雨 : 埃冒는 토기(土氣)의 작용(作用)이며, 雲雨는 수기(水氣)의 작용(作用)이다.
| |
|
| |
|
| |
|
오상정대론(五常政大論) 제2장 l
오상정대론(五常政大論) 제4장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