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전중혈(膻). 임맥(任脈)의 혈위.
103) 임맥(任脈)의 혈위.
104) 임맥(任脈)의 혈위.
105) 임맥(任脈)의 혈위.
106) 도(導)는 도(道)이다. 즉 전(傳)하여 주는 도로(道路)이다.
107) 기(氣)가 모이는 곳.
108) 기충(氣衝). 기충혈(氣衝穴).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혈위. 충맥(衝脈)이 일어나는 곳.
|
|
| |
|
 | |
|
| |
|
 | |
|
| |
|
109) 營周於外는 문맥(文脈)이 통(通)하지 않는다. 영기(營氣)는 외표(外表)나 맥외(脈外)의 운행(運行)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운행(運行)은 위기(衛氣)의 몫이다. 오기(誤記)일 듯. 난경정의 교주에서 주해(註解)하기를, ‘《句解》에 外는 身으로 되어 있다.《五行大義》에 인용될 때는 이 여덟 자가 없다.’ 라고 하였다. 신(身)으로 보는 것이 타당(妥當)할 듯 하다.
|
|
| |
|
| |
|
이십팔난(二十八難)~이십구난(二十九難) l
삼십삼난(三十三難)~삼십사난(三十四難)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