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오행대의(五行大義) / 소길(蕭吉) / 제삼((第三) / 논수(論數) / 논납음수(論納音數)2 |
|
| |
|
|
|
|
 | |
|
| |
|
수(數)를 논(論)한다 | |
|
 | |
| |
|
납음수(納音數)를 논(論)한다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三甲三壬三乙三癸 : 三甲三壬은 건위천(乾爲天) 육효(六爻)의 납갑(納甲)이고, 三乙三癸는 곤위지(坤爲地) 육효(六爻)의 납갑(納甲)이다.
| |
|
| |
|
 | |
|
| |
|
 | |
|
| |
|
※ 八純卦 : 주역(周易) 육십사괘(六十四卦) 가운데 상하괘(上下卦)가 동일(同一)한 여덟개의 괘(卦). 즉, 건위천(乾爲天), 태위택(兌爲澤), 리위화(離爲火), 진위뢰(震爲雷), 감위수(坎爲水), 손위풍(巽爲風), 간위산(艮爲山), 곤위지(坤爲地)의 여덟 괘(卦)이다.
※ 虛用之中 : 미상(未詳).
※ 不全無者 : 미상(未詳).
| |
|
| |
|
| |
|
납음수(納音數)를 논(論)한다1 l
구궁(九宮)의 수(數)를 논(論)한다1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