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253) 아직 발병(發病)이 되지 않았으나 곧 증상(症狀)이 나타날 가능성(可能性)이 높은 병증(病證).
254) 간목(肝木)은 목극토(木克土)로써 비토(脾土)를 극제(剋制)한다.
|
|
| |
|
 | |
|
| |
|
 | |
|
| |
|
255) 針刺補瀉法의 一種으로 속칭 呼吸補瀉라 한다. 呼氣時에 針을 넣고 吸氣時에 針을 빼는 것이 補法이고, 吸氣時에 針을 넣고 呼氣時에 針을 빼는 것이 瀉法이라고 한다. - 난경본의 교주.
256) 素問 王氷注에 彈而怒之 使脈氣 滿也라 하였으니, 針을 넣기 전에 손가락을 사용하여 針穴位의 皮膚를 彈擊하여 局部의 氣血을 充盈하게 하여 得氣가 쉽게 하는 것을 말한다. - 난경본의 교주.
257) 素問 王氷注에 爪而下之 置鍼準也라 하였으니, 손톱을 사용하여 아래를 향해 꽉 붙잡고 針을 穴位에 넣어 鍼部位가 확실하게 固定되도록 한다. - 난경본의 교주.
258) 맥기(脈氣)가 침혈(鍼穴)에 모이는 것.
259) 動은 針杆을 搖動하는 것이다. 伸은 引伸하는 것인 卽 針體를 당겨 淺處로 나오게 하여 邪氣를 밖으로 泄하는 것이다. - 난경본의 교주.
260) 內外는 針刺의 深淺部位를 가리킨다. 卽 男子는 淺刺하고 女子는 深刺하는 것이다. - 난경본의 교주.
|
|
| |
|
 | |
|
| |
|
 | |
|
| |
|
261) 虛證에는 補法을 사용하여 不足한 것을 보충한다. 그러므로 若得이라고 한 것이다. 實證에는 瀉法을 사용하여 有餘한 것을 瀉해야한다. 그러므로 若失이라고 한 것이다. -난경본의 교주. 이해(理解)하기 어렵다.
262)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263) 즉 사(瀉)하는 것이다.
264) 즉 보(補)하는 것이다.
265) 맥상(脈狀)의 형태(形態). 뇌(牢)은 맥동(脈動)이 단단하게 느껴지는 것이고, 유(濡)는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이다.
|
|
| |
|
| |
|
칠십사난(七十四難)~칠십육난(七十六難) l
팔십난(八十難)~팔십일난(八十一難)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