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청옥재 (淸玉齋)  /  보명익수 (保命益壽)  /  난경 (難經)
                                                                                             
난경 (難經) / 편작(扁鵲) /   칠십칠난(七十七難)~칠십구난(七十九難)
253) 아직 발병(發病)이 되지 않았으나 곧 증상(症狀)이 나타날 가능성(可能性)이 높은 병증(病證).
254) 간목(肝木)은 목극토(木克土)로써 비토(脾土)를 극제(剋制)한다.
255) 針刺補瀉法의 一種으로 속칭 呼吸補瀉라 한다. 呼氣時에 針을 넣고 吸氣時에 針을 빼는 것이 補法이고, 吸氣時에 針을 넣고 呼氣時에 針을 빼는 것이 瀉法이라고 한다. - 난경본의 교주.
256) 素問 王氷注에 彈而怒之 使脈氣 滿也라 하였으니, 針을 넣기 전에 손가락을 사용하여 針穴位의 皮膚를 彈擊하여 局部의 氣血을 充盈하게 하여 得氣가 쉽게 하는 것을 말한다. - 난경본의 교주.
257) 素問 王氷注에 爪而下之 置鍼準也라 하였으니, 손톱을 사용하여 아래를 향해 꽉 붙잡고 針을 穴位에 넣어 鍼部位가 확실하게 固定되도록 한다. - 난경본의 교주.
258) 맥기(脈氣)가 침혈(鍼穴)에 모이는 것.
259) 動은 針杆을 搖動하는 것이다. 伸은 引伸하는 것인 卽 針體를 당겨 淺處로 나오게 하여 邪氣를 밖으로 泄하는 것이다. - 난경본의 교주.
260) 內外는 針刺의 深淺部位를 가리킨다. 卽 男子는 淺刺하고 女子는 深刺하는 것이다. - 난경본의 교주.
261) 虛證에는 補法을 사용하여 不足한 것을 보충한다. 그러므로 若得이라고 한 것이다. 實證에는 瀉法을 사용하여 有餘한 것을 瀉해야한다. 그러므로 若失이라고 한 것이다. -난경본의 교주. 이해(理解)하기 어렵다.
262)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263) 즉 사(瀉)하는 것이다.
264) 즉 보(補)하는 것이다.
265) 맥상(脈狀)의 형태(形態). 뇌(牢)은 맥동(脈動)이 단단하게 느껴지는 것이고, 유(濡)는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이다.
칠십사난(七十四難)~칠십육난(七十六難) l 팔십난(八十難)~팔십일난(八十一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