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청옥재 (淸玉齋)  /  보명익수 (保命益壽)  /  맥경 (脈經) 빈호맥학(瀕湖脈學)  /  빈호맥학(瀕湖脈學)
                                                            
빈호맥학(瀕湖脈學) / 이시진(李時珍) / 찬(撰)
1) 俗子 : 속인(俗人). 평범(平凡)한 사람. 여기서는 도사(道士)의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세속(世俗)의 벼슬을 지낸 동영자(東瀛子) 두광정(杜光庭)을 지칭(指稱)하는 뜻. 속자(俗子)는 또한 두광정(杜光庭)의 도호(道號)인 동영자(東瀛子)을 빗대는 말이기도 하다.
2) 당(唐)의 말기(末期)인 오대(五代) 시기(時期)의 도사(道士). 옥추경(玉樞經)을 비롯한 대부분의 도교(道敎) 경전(經典)들은 그의 손을 거쳤거나 또는 직접 저작(著作)하였다고 전한다.
3) 맥결(脈訣)은 남송(南宋)의 의원(醫員)인 최가언(崔嘉彦)의 저작(著作)이다. 여기서의 맥결(脈訣)의 본뜻은 두광정(杜光庭)이 저작(著作)한 옥함경(玉函經)을 지칭(指稱)하는 것이다. 두광정이 편찬한 옥함경(玉函經)을 최가언이 주해(註解)하였고, 후일(後日) 이를 기반(基盤)으로 맥결(脈訣)을 편찬(編纂)하였으므로, 맥결(脈訣)을 두광정의 저작(著作)이라고 말한 것이다.
4) 비무(紕繆)는 잘못된 바느질, 얼기설기 대충 얽어맨 정도의 바느질.
5) 바탕이 되는 것. 권(權)을 저울대, 여(輿)는 수레의 차대(車臺). 즉 모든 것의 기본(基本)이나 기초(基礎)가 되는 것.
6) 원(元)의 의원(醫員). 동부(同父) 대계종(戴啓宗). 맥결간오(脈訣刊誤) 2권을 편찬(編纂)하였다.
7) 원(元)의 대계종이 편찬(編纂)한 의서(醫書). 왕숙화(王叔和)의 맥경(脈經)을 바탕으로 편찬(編纂)하였다.
8) 이시진(李時珍)의 부친(父親)인 이언문(李言聞). 사진발명(四診發明)을 편찬(編纂)하였다. 빈호맥학의 사언결(四言訣) 부분은 이언문(李言聞)의 사진발명(四診發明)을 토대(土臺)로 편찬(編纂)된 것이다.
9) 이언문(李言聞). 월지옹(月池翁)은 그의 아호(雅號).
10) 규(竅)는 규(窺)의 오기(誤記)인 듯.
11) 병자(病者)를 진찰(診察)하는 네가지 방법(方法). 곧 맥진(脈診), 시진(視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빈호맥학(瀕湖脈學) 목차 l 부맥(浮脈)